카테고리 없음

바위는 왜 색이 다 다를까? – 광물의 비밀

팁텍톡 2025. 8. 6. 15:07
반응형

바위는 왜 색이 다 다를까? – 광물의 비밀

바위의 다양한 색깔, 그 원인은 바로 '광물'에 숨어 있습니다

바위는 왜 색이 다 다를까?

 


산을 오르거나 해안가를 거닐다 보면 다양한 색깔의 바위를 만날 수 있습니다. 어떤 바위는 붉고, 어떤 바위는 회색이나 초록빛을 띠며, 때로는 검은색이나 심지어 푸른색도 발견됩니다. 그렇다면 왜 바위는 이렇게 각기 다른 색을 가지고 있을까요? 그 이유는 바위를 이루고 있는 광물의 종류형성 환경, 산화 작용 등 여러 과학적 요인에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바위의 색이 정해지는 과정과 그 안에 숨겨진 광물의 세계를 쉽고 정확하게 풀어보겠습니다.


바위는 광물로 이루어진 '혼합체'입니다

바위는 단일 물질이 아니라, 여러 광물이 섞여 있는 고체 물질입니다.
광물은 각각 고유한 화학 성분과 결정 구조를 가지고 있어
빛을 흡수하거나 반사하는 방식도 다릅니다.

따라서 어떤 광물이 얼마나 포함되어 있느냐에 따라
바위의 색이 달라지는 것이죠.


광물의 성분이 바위 색을 결정한다

다음 표는 주요 광물과 그것이 주로 만드는 바위 색을 정리한 것입니다.

광물명주요 색상바위 예시
석영 무색~흰색 화강암
장석 분홍~흰색 편마암, 화강암
흑운모 검정~갈색 반암, 현무암
철광물 붉은색~갈색 사암, 혈암
엽록석 초록색 감람암, 현무암
 

특정 광물이 다량 포함된 바위는 그 광물의 색을 띠는 경향이 강해지며,
소량일 경우에는 얼룩덜룩한 혼합색이 나타나기도 합니다.


산화 작용이 바위 색을 변화시키기도 한다

공기와 물에 노출된 바위는 화학적으로 변해 색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가장 대표적인 예가 철 성분의 산화로 인해 생기는 '녹슨 붉은색'입니다.

예를 들어, 붉은 사암이나 황토색 점토는 철이 산화되어
산화철(Fe₂O₃)을 형성하면서 붉게 보이는 것입니다.

이는 바위 본연의 색이 아니라, 외부 환경에 의해 달라진
2차적 색상이라 할 수 있습니다.


화산암과 퇴적암의 색은 왜 다를까?

화산암은 용암이 식으면서 빠르게 굳어져 만들어진 바위로,
주로 어두운 색을 띠는 경향이 있습니다.

반면 퇴적암은 오랜 시간 동안 퇴적된 광물 알갱이들이 굳어
형성된 것으로, 붉은색, 갈색, 베이지색 등 밝은 톤이 많습니다.

이는 각 암석의 형성 환경과 광물 조성의 차이에서 비롯됩니다.


빛과 결정 구조도 색에 영향을 준다

같은 화학 성분을 가진 광물이라도 결정 구조에 따라 색이 다르게 보일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흑연과 다이아몬드는 둘 다 탄소로 이루어져 있지만
완전히 다른 색과 성질을 갖습니다.

또한, 특정 결정은 특정 파장의 빛을 흡수하고 반사하기 때문에
우리가 보는 색깔에 영향을 미칩니다.


바위의 색은 지질 조사에도 사용됩니다

지질학자들은 바위의 색을 통해 그 지역의 지질 환경을 유추합니다.
예를 들어, 붉은색 바위가 많은 지역은 산화 환경이 우세했던 곳일 가능성이 높고,
검은 현무암이 많은 지역은 화산 활동이 활발했던 지역으로 볼 수 있습니다.

이처럼 바위의 색은 단순한 미적 요소가 아니라,
지구의 역사와 환경을 파악하는 실마리가 되기도 합니다.


우리 주변 바위의 색, 알고 보면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평소 무심코 지나쳤던 바위의 색도 그 속을 들여다보면
지구의 탄생과 변화, 그리고 수억 년에 걸친 시간의 흔적을 담고 있습니다.

이제부터는 바위 하나를 보더라도 "이건 왜 이런 색일까?"라는
과학적 호기심을 가지고 자연을 바라보는 습관을 가져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