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진파로 지구 속을 본다고? – CT 찍는 지구과학자들
지진파를 이용해 지구 내부를 촬영한다면 믿으시겠어요? 지구과학자들의 놀라운 탐험 기술을 소개합니다

지구는 인간이 직접 들어갈 수 없는 거대한 구조물입니다. 우리가 발을 딛고 서 있는 지각은 지구 전체에서 아주 얇은 껍데기에 불과하죠. 그렇다면 우리는 어떻게 지구 내부, 그 깊숙한 중심부까지 알 수 있을까요? 바로 지진파를 이용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이것은 마치 병원에서 CT를 찍어 인체 내부를 들여다보는 것처럼, 지구과학자들이 지진의 진동을 활용해 지구 속 구조를 파악하는 방식입니다. 이 글에서는 지진파의 원리와 그것으로 지구를 탐사하는 방법, 그리고 그 과정에서 밝혀진 지구 내부의 놀라운 비밀들을 살펴봅니다.
지진파란 무엇일까?
지진이 발생하면 땅속 깊은 곳에서 에너지가 방출되며 진동이 퍼집니다.
이 진동이 지각을 따라 전달되는 파동이 바로 지진파입니다.
지진파는 크게 두 가지로 나뉩니다. 빠르게 이동하는 'P파(Primary wave)'와
느리지만 더 큰 피해를 유발하는 'S파(Secondary wave)'입니다.
P파는 고체와 액체를 모두 통과할 수 있지만, S파는 오직 고체만 통과합니다.
이 특성이 바로 지구 내부를 탐지하는 열쇠가 됩니다.
지진파로 지구 내부를 '촬영'하는 원리
지진파는 지구 내부의 다양한 물질과 구조를 통과하면서
속도, 방향, 강도 등이 달라집니다.
지구과학자들은 전 세계에 설치된 지진계로 이 파동을 측정하고,
파동의 이동 속도와 도달 시간, 굴절 각도 등을 분석해
지구 내부의 밀도와 상태를 파악합니다.
이 과정을 통해 마치 CT처럼 단면 이미지를 구성하는 것을
'지구 물리탐사' 또는 '지진단층촬영법(seismic tomography)'이라 부릅니다.
지구 내부 구조를 이해하는 핵심 도구
지진파 분석을 통해 지구 내부는 다음과 같이 나뉜다는 사실이 밝혀졌습니다.
| 지각 | 0~70 | 고체 | 우리가 사는 땅 |
| 맨틀 | 70~2900 | 고체+유동 | 대류가 일어나는 층 |
| 외핵 | 2900~5100 | 액체 | S파가 통과하지 못함 |
| 내핵 | 5100~6371 | 고체 | 고온·고압에서도 고체 상태 유지 |
이 구조는 지진파가 어떤 층에서는 굴절되고, 어떤 층에서는
전혀 전달되지 않는다는 특성을 통해 밝혀진 것입니다.
CT처럼 내부를 투시하는 '지진파 단층촬영'
지진파 단층촬영은 하나의 지진이 전 세계 여러 지진관측소에
어떻게 도달하는지를 분석함으로써 지구 내부의 밀도 분포를
3차원 이미지로 재구성하는 기술입니다.
이 기법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집니다.
| 도달 시간 | 지진 발생 후 도달까지 걸린 시간 측정 |
| 굴절 각도 | 지층을 지날 때 꺾이는 방향 확인 |
| 감쇠 현상 | 에너지가 줄어드는 정도로 물질 상태 예측 |
이 과정을 통해 마치 뇌 CT처럼, 지구의 핵과 맨틀 구조를
정밀하게 시각화할 수 있습니다.
지진파로 알게 된 지구 내부의 진실들
지진파 연구를 통해 밝혀진 대표적인 사실들로는 다음과 같습니다.
- 외핵은 액체다
S파가 외핵을 통과하지 못한다는 점에서 외핵이 액체임이 확인됐습니다. - 지각은 매우 얇다
지각은 평균 30km 내외로, 지구 반지름(6371km)에 비해 매우 얇은 껍데기입니다. - 맨틀의 대류 현상
맨틀은 고체지만 오랜 시간에 걸쳐 유동하는 성질이 있어,
대륙 이동과 화산 활동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이 기술은 어디에 활용될까?
지진파 단층촬영 기술은 단순히 학문적 목적에 그치지 않습니다.
지진 발생 가능 지역을 예측하거나, 원유와 천연가스를 탐사하는 데
사용되며, 지하 자원의 분포를 분석하는 데에도 활용됩니다.
또한, 화산 아래 마그마의 움직임을 감지해 폭발 가능성을
사전에 파악하는 데도 큰 도움이 됩니다.
지구는 아직도 '미지의 영역'입니다
지진파를 이용한 탐사는 인류가 지구 내부를 이해할 수 있는
가장 강력한 수단 중 하나입니다.
하지만 지구 내부에는 여전히 밝혀지지 않은 많은 비밀이 존재합니다.
이제는 단순한 관측을 넘어, 더 정밀하고 입체적인
지구 모델링 기술이 발전하고 있으며, 우리는 그 중심에서
지구를 더욱 깊이 이해해가고 있습니다.
'지구과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사막도 춥다? 기후와 사막의 놀라운 이야기 (4) | 2025.08.08 |
|---|---|
| 지구는 왜 자석처럼 행동할까? 지자기의 비밀을 파헤치다 (6) | 2025.08.07 |
| 화산은 왜 분화할까? – 마그마가 분출하는 이유 (5) | 2025.08.07 |
| 바위는 왜 색이 다 다를까? – 광물의 비밀 (4) | 2025.08.06 |
| 북극이 녹으면 해수면이 진짜 올라갈까? (2) | 2025.08.06 |